728x90 전체 글93 [엑셀] 엑셀 함수 - SUM(합계 구하기) #7일차 1. [도입] 엑셀 함수 - SUM(합계 구하기) - 지난 시간에 함수의 기본 형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 시간 이후부터는 본격적으로 함수 하나하나에 대해서 예제를 통하여 그 사용법과 특징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 오늘은 그 첫 번째 날로 기본 함수인 합계를 구하는 SUM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참고로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셀이나 수식입력줄에서 직접 등호부터 시작하여 모두 입력하는 방법 두 번째는 함수 마법사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이 두 방법은 각자 장단점이 명확한데, 일단은 처음 함수를 접하고 엑셀을 제대로 배우고자 한다면, 처음부터 함수 마법사를 이용하여 함수를 입력하는 것보다는 함수를 직접 입력해 보고 함수.. 2024. 3. 20. [엑셀] 엑셀 함수 사용방법(기본형식) 알아보기 #6일차 1. [도입] 엑셀 함수 사용방법(기본형식) 알아보기 - 오늘은 함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수란 엑셀에서 복잡한 계산 과정을 미리 정의해 놓은 명령으로 약속된 형식으로 입력을 하게끔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함수의 종류에 따라 입력하는 형식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우리는 함수의 종류에 따른 입력방법에 대해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할 모든 함수들의 입력형태를 하나하나 실습을 해봐야 하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있기에 오늘은 기본적인 함수의 입력형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간단한 사용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개념 설명] 엑셀 함수 사용방법(기본형식) 알아보기 - 함수라는 개념이 나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면, 앞서 우리는 엑셀에서 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수.. 2024. 3. 18. [엑셀] 엑셀 셀 참조의 종류(혼합참조) #5일차 1. [도입] 엑셀 셀 참조의 종류(혼합참조) - 수식에서 셀을 참조할 때는 크게 세 가지 참조 방법(상대참조, 절대참조, 혼합참조)이 있습니다. 수식을 입력한 후 자동 채우기 또는 셀 복사를 통하여 계산하려고 할 때 참조 방법에 따라서 수식의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셀 참조 방법에 유의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마지막 참조 방법인 혼합참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개념 설명] 엑셀 셀 참조의 종류(혼합참조) - 기본적으로 상대참조 셀 주소를 입력한 상태에서 키보드의 기능키 F4 키를 한 번 누르게 되면 절대참조로, 두 번 누르게 되면 혼합참조로 변경되는데, 혼합 참조의 종류는 두 가지라 두 번째 눌렀을 때와 세 번째 눌렀을 때 형태 모두 혼합참조입니다. (예.. 2024. 3. 15. [엑셀] 엑셀 셀 참조의 종류(절대참조) #4일차 1. [도입] 엑셀 셀 참조의 종류(절대참조)- 수식에서 셀을 참조할 때는 크게 세 가지 참조 방법(상대참조, 절대참조, 혼합참조)이 있습니다. 수식을 입력한 후 자동 채우기 또는 셀 복사를 통하여 계산하려고 할 때 참조 방법에 따라서 수식의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셀 참조 방법에 유의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절대 참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개념 설명] 엑셀 셀 참조의 종류(절대참조)- 기본적으로 상대참조 셀 주소를 입력한 상태에서 키보드의 기능키 F4 키를 한번 누르게 되면 절대참조로 변경됩니다. (예, A3 → $A$3 ) 1. 절대참조- 열 문자와 행 번호 앞에 $ 기호를 붙여 입력하는 형식입니다. 수식을 자동 채우기 또는 복사할 경우 절대 참조는 .. 2024. 3. 12. [엑셀] 엑셀 셀 참조의 종류(상대참조) #3일차 1. [도입] 엑셀 셀 참조의 종류(상대참조)- 수식에서 셀을 참조할 때는 크게 세 가지 참조 방법(상대참조, 절대참조, 혼합참조)이 있습니다. 수식을 입력한 후 자동 채우기 또는 셀 복사를 통하여 계산하려고 할 때 참조 방법에 따라서 수식의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셀 참조 방법에 유의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은 첫째 날로 상대참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개념 설명] 엑셀 셀 참조의 종류(상대참조)- 기본적으로 상대참조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셀 주소의 형태인 열 문자와 행번호의 조합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1. 상대참조- 열 문자와 행 번호를 나란히 입력하는 형식으로 상대 참조로 작성한 수식을 자동 채우기 또는 복사하면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열 문자와 행 번호가 자동으로 .. 2024. 3. 9. [엑셀] 엑셀 수식 연산자의 종류 #2일차 1. [도입] 엑셀 수식 연산자의 종류 - 지난 시간에 배운 수식 작성 규칙에 의해서 수식을 작성할 때 값과 값의 계산을 위해서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총 네 가지 연산자를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산술 연산자, 비교 연산자, 문자열 연결 연산자, 참조 연산자 이렇게 있습니다. 2. [개념 설명] 엑셀 수식 연산자의 종류 - 아래 네 가지 연산자의 종류는 반드시 기억해야 할 연산자들이며, 매일매일 한 번씩 훑어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1. 산술 연산자 연산자 의미 연산자 의미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지수 % 백분율 2. 비교 연산자 연산자 의미 연산자 의미 > 크다(초과) = 크거나 같다(이상) 2024. 3. 7. [엑셀] 엑셀 수식 작성 규칙 #1일차 1. [도입] 엑셀 수식 작성 규칙 - 민주주의의 꽃을 선거라고 한다면 엑셀의 꽃은 당연 다양한 함수 및 연산자를 활용한 수식 계산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엑셀에서 계산은 상당히 중요한 작업이며, 이 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식을 입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사용자 마음대로 수식을 작성할 수는 없고 정해진 규칙에 의해서 작성해야 함을 명심해야 합니다. 오늘은 수식 작성 규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개념 설명] 엑셀 수식 작성 규칙 - 엑셀을 이용하여 계산을 하려면 반드시 아래 수식 작성 규칙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1. 수식 작성 규칙 ① 수식은 반드시 등호(=)로 시작해야 합니다. ② 수식에서의 값으로 피연산자(숫자, 셀 주소, 문자, 함수 등)를 사용합니다. ③ 값과 값을 계산하기 위해 연.. 2024. 3. 4. [엑셀] 엑셀 데이터 표시 형식 지정하기-사용자 지정(숫자, 문자) #55일차 1. [도입] 엑셀 데이터 표시 형식 지정하기-사용자 지정(숫자, 문자) -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기 위하여 우리는 [셀 서식] 대화상자의 [표시형식] 탭에서 입력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내가 원하는 데이터 형식에 따라서 해당되는 범주를 선택하여 표시형식을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표시형식] 탭에서 제공하지 않는 형식을 사용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그때는 바로 사용자 지정 범주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의 표시형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사용자 지정 표시형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2. [개념 설명] 엑셀 데이터 표시 형식 지정하기-사용자 지정(숫자, 문자) - 우선 사용자 지정 표시형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서식 코드인 날짜.. 2024. 3. 2. [엑셀] 엑셀 데이터 표시 형식 지정하기-사용자 지정(날짜, 시간) #54일차 1. [도입] 엑셀 데이터 표시 형식 지정하기-사용자 지정(날짜, 시간) - 데이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기 위하여 우리는 [셀 서식] 대화상자의 [표시형식] 탭에서 입력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내가 원하는 데이터 형식에 따라서 해당되는 범주를 선택하여 표시형식을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표시형식] 탭에서 제공하지 않는 형식을 사용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그때는 바로 사용자 지정 범주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의 표시형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바로 사용자 지정 표시형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2. [개념 설명] 엑셀 데이터 표시 형식 지정하기-사용자 지정(날짜, 시간) - 우선 사용자 지정 표시형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서식 코드인 날짜와 관련된 서식.. 2024. 2. 23. [엑셀] 엑셀 데이터 표시 형식 지정하기-숫자, 통화, 회계 #53일차 1. [도입] 엑셀 데이터 표시 형식 지정하기-숫자, 통화, 회계 1) 숫자 데이터 - 숫자 데이터에 천 단위 구분 기호(,)를 사용하고 싶거나, 셀에 표시되는 음수의 형태를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셀 서식] 대화상자의 [표시형식] 탭에서 숫자 범주를 선택하여 천 단위 구분 기호(,)를 사용하거나, 음수 숫자 데이터 형식을 선택하면 됩니다. 2) 통화 데이터 - 일반적인 통화 수치를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숫자데이터를 입력합니다. 그런 후 [셀 서식] 대화상자의 [표시형식] 탭의 통화 범주를 선택하여 원하는 통화 기호, 소수 자릿수 및 음수 일 때 표시되는 형식을 선택하면 됩니다. 3) 회계 데이터 - 회계 수치를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숫자데이터를 입력합니다. 그런 후.. 2024. 2. 18.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 728x90